저번에 올린 내용에이어 회계1급의 부채 - 유동부채,비유동부채에 관한 내용입니다.
<유동부채>
▶ 유동부채의 정의 :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이내 상환기간이 도래하는 부채
▶ 유동부채 계정과목 : 외상매입금, 지급어음, 매입채무(=외상매입금+지급어음)
단기차입금, 미지급금, 선수금, 예수금, 유동성장기부채, 미지급세금
▶ 회계처리
* 외상매입시 분개 (차) 상품 100 (대) 현금 30
외상매입금 70
대금지급시 분개 (차) 외상매입금 70 (대) 현금 30
* 주된 영업 활동일 경우 : 외상매입금
영업활동이 아닐 경우 : 미지급금 (어음도 미지급금)
* 신용카드로 결제시 (거래처는 카드사) : 일반적 상거래시 - 외상매입금
일반적 상거래가 아닐 경우 - 미지급금
* 예수금의 분개 : 원천징수 (차) 급여 1000 (대) 예수금 150
급여 850
기관납부시 (차) 예수금 150 (대) 현금 300
(차) 복리후생비 150 (4대보험 회사부담분)
* 유동성 장기부채 : (비유동부채인) 장기차입금이 결산일 기준 1년 이내 만기도래인 경우
(차) 장기차입금 (대) 유동성 장기부채 (유동부채)
* 미지급 세금의 분개
- 법인세 중간예납 (차) 선납세금 50 (대) 현금 50
- 법인 이자수익 원천징수 (차)선납세금 2 (대) 이자수익 12
보통예금 10
- 법인세 비용 인식 (차) 법인세등 100 (대) 선납세금 52
(=법인세 비용) 미지급세금 48
<비유동부채>
▶ 비유동부채 정의 :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후에 상환기간이 도래하는 부채
▶ 계정과목 : 사채, 임채보증금, 장기차입금, 장기매입채무 (=장기외상매입금 + 장기지급어음)
장기미지급금, 퇴직급여충당부채
▶ 사채 : 주식회사가 자금조달 위해 채무증권 발행하고 만기까지 표시이자 지급 후 만기일에 원금상환 약정
- 사채의 발행 유형
액면발행 : 액면이자율 = 시장이자율
할인발행 : 액면이자율 < 시장이자율
할증발행 : 액면이자율 > 시장이자율
- 사채 회계처리
액면발행시 (차) 보통예금 *** (대) 사채 ***
할인발행시 (차) 보통예금 (발행금액) *** (대) 사채(액면금액) ***
(차) 사채할인 발행차금 (부채차감) ***
할증발행시 (차)보통예금 (발행금액) *** (대) 사채(액면금액) ***
(대) 사채할증 발행차금 (부채가산) ***
▶ 임대보증금
- 계약체결시 임대보증금 수령
(차) 보통예금 *** (대) 임대보증금 ***
- 계약만료시 임대보증금 반환
(차) 임대보증금 *** (대) 보통예금 ***
▶ 충당부채
- 정의 : 지출시기나 금액이 불확실하지만 부채로 인식할만한 성격의 것
- 인식요건 : ① 과거사건이나 거래의 결과로 현재의무가 존재
② 당해 이행의무를 위하여 자원유출 될 가능성 높음
③ 의무 이해에 소요되는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음
- 충당부채의 예 : 퇴직급여충당부채, 제품보증충당부채
- 퇴직급여 충당부채 회계처리 (차) 퇴직급여 *** (대) 퇴직급여충당부채 ***
환입시 (차) 퇴직급여충당부채 *** (대) 퇴직급여
퇴직금 지급시 (차) 퇴직급여충당부채 *** (대) 현금 등
(차) 퇴직급여 ***
▶ 퇴직연금
- DB형(확정급여형) : 기업의무 - 정해진 퇴직급여를 종업원에게 지급
적립금(위험,효익)의 소유는 회사
- DC형(확정기여형) : 기업의무 - 정해진 불입액을 금융기관에 납입
적립금(위험,효익)의 소유는 종업원 개인
* DB형 회계처리
납입시 (차) 퇴직연금운용자산 78 (대) 현금 80
(차) 수수료 비용 2
운용수익 (차) 퇴직연금운용자산 2 (대)운용수익 (or 이자수익) 2
기말결산시 전입 (차) 퇴직급여 (대) 퇴직급여충당부채
지급시 (90 줘야 하는데 그동안 80 쌓인 경우) (차) 퇴직급여충당부채 90 (대) 퇴직연금운용자산 80
(대) 현금 10
* DC형 회계처리
납입시 (차) 퇴직급여 *** (대) 현금 ***
→ DC형의 경우 회사부담금 납입 처리 후 더 이상의 회계처리 필요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