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전하는 회계이야기 상세보기


질문

제목 2A 이다은
작성자 이다은 조회 142
첨부 날짜 2021-04-13
내용

< 현금과부족 >


현금과부족이란?

- 장부상 현금과 실제 현금 잔액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쓰이는 임시 계정


! 실제 현금을 기준으로 장부를 맞춘다.


1. 실제 현금 잔액 (7,000원) < 장부상 현금 잔액 (10,000원)


(차) 현금과부족 3,000  (대) 현금 3,000


2. 장부상 현금 잔액 (7,000원) < 실제 현금 잔액 (10,000원)


(차) 현금 3,000 (대) 현금과부족 3,000


! 결산 시까지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


- 부족액 : 잡손실 계정 (영업외비용)

- 초과액 : 잡이익 계정 (영업외수익)


위의 같은 번호와 문제가 이어집니다.


1. 결산일까지 현금과부족 잔액 (3,000원)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을 때 


(차) 잡손실         3,000        (대) 현금과부족  3,000


2. 결산일까지 현금과부족 잔액 (3,000원)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을 때


(차) 현금과부족  3,000        (대) 잡이익         3,000

 

+) 결산일 현재 실제 현금 잔액이 장부상 현금 잔액보다 50,000원 많고 차이 원인은 확인되지 않는다.


(차) 현금         50,000         (대) 잡이익       50,000


이 문제는 기중에 실제 현금 잔액과 장부상 현금 잔액이 맞지 않는 것을 미리 발견해 현금과부족 계정을 사용해  (차) 현금 50,000 (대) 현금과부족 50,000 이 

아닌 결산일 당일에 차이를 발견한 경우이기 때문에 바로 잡이익 처리하는 경우입니다.


정리하면,

1) 기중에 발견해 현금과부족 계정을 사용한 경우 - 결산일에 잡이익 / 잡손실 계정을 사용해 상계 처리합니다. (현금과부족 계정이 임시 계정이기 때문입니다.)

2) 결산일 당일에 발견한 경우 - 바로 잡이익 / 잡손실 계정을 사용해 분개합니다.


다른 내용들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내용이지만 공부를 하다가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서 다른 분들께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올립니다!




답변

제목 이다은 학생의 답글_현금과부족
작성자 이정이 조회 582
첨부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날짜 2021-04-14
내용

당좌자산 중 현금및현금성자산은 유동성 측면에서 중요성이 강조됩니다.

현금시재를 다룰 때 배우는 현금과부족 계정과목에 대해 잘 정리해준 내용입니다.

1학년에게도 큰 도움이 되므로 잘 기억하기 바랍니다.


좋은 내용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