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의 계정과목 중에
단기매매증권
매도가능증권
만기보유증권
이 있다.
단기매매증권은 시세 차익을 목적으로 하는 주식이고, 수익적 가치가 있어야 힌다
만기보유증권은 만기까지 보유할 계획이 있는 주식이고
매도가능증권은 만기, 단기도 아닌 증권, 언제 팔릴 지 모르는 주식을 말한다.
이 세가지의 자산의 분류는
단기매매증권 = 당좌자산
만기보유증권, 매도가능증권 =투자자산이다
처분 방법
- 단기매매증권은 기간이 정해져있어 기간이 되었을 때 증권을 팔아야하는데
처분을 할 때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손실이 라는 계정과목이 나오게 된다.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은 영업외이익으로 분류되고
단기매매증권을 구매할 때 들어가는 수수료는 원가에 합치지 않고 수수료비용으로 빠진다.
- 만기보유증권은 기간이 없기 때문에 처분할 때
장부금액과 처분금액의 차액을 계산하여 매도가능증권처분손익(당기손익)으로 처리한다.
- 매도가능증권은 단기매매증권과 다르게 수수료를 포함한 가격을 기준으로 하며
매도가능증권처분이익은 당기손익으로 처리하지만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누계액에 포함된다.
답변 목록
형태 선택배너형이미지링크게시판
⤑
변경하실 이미지의 URL을 입력하세요(이미지 크기가 원본과 다르면 화면이 깨질 수 있습니다.)
(이미지 크기가 원본과 다르면 화면이 깨질 수 있습니다.)
변경하실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적용 삭제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