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전하는 회계이야기 상세보기


제목 2A 윤수빈
작성자 윤수빈 조회 416
첨부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날짜 2021-06-03
내용

결산정리(수익, 비용의 결산정리, 소모품처리)

수익·비용에 관한 결산정리

: 기업의 수익과 비용 중에는 전기와 차기에 걸쳐 발생 또는 지연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발생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정확한 손익계산을 해야한다.


손익의 이연

┗수익의 이연

┗비용의 이연

이연 : 이미 완료된 것을 내년 장부로 넘기는 것



손익의 예상

┗수익의 예상

┗비용의 예상

예상 : 수익, 지출이 없지만 미리 장부에 적는 것


⚠️이연과 예상이 헷갈린다면 실제로 수익과 지출이 실현되었는지를 확인하자. 실현된건 이연이고 미실현된건 예상이다.


수익의 이연

(차) 임대료 XXX   (대) 선수수익 XXX


                             

EX)
8월 1일 장부에 수익으로 기록한 1년분 임대료 36만원 중 21만원은 내년 임대료를 미리 받은거라 차감해야한다.

                 

8월 1일을 분개해본다면 아래와 같을 것이다.(현금으로 받았다고 가정)

┗8/1 (차) 현금 360,000   (대) 임대료 360,000

1년분 임대료를 받은 것이라서 8월부터 12월까지 5개월치의 임대료(15만원)만이 당기수익으로 볼 수 있다.

그러면 이미 받은 7개월치 임대료, 즉 내년 1월부터 7월까지의 임대료는 장부에 적지 말아야할까?

그렇지 않다. 앞서 공부한 것처럼 발생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정확한 손익계산을 해야하기 때문에 결산 시 장부에 적어서 이연시켜야한다.

따라서 나머지 7개월치의 임대료(21만원)도 장부에 적어야하는데 결산 시 이와 같이 분개해야한다.

12월 31일 선수임대료를 정리하는 경우

┗(차) 임대료 210,000   (대) 선수수익 210,000




비용의 이연

┗(차) 선급비용 XXX   (대) 보험료 XXX


                             

EX)
6월 1일 장부에 비용으로 기록한 1년분 자동차보험료 48만원 중 20만원은 내년 보험료를 미리 지급한 것이라 차감해야한다.

                 

6월 1일을 분개해본다면 아래와 같을 것이다.(현금으로 지급했다고 가정)

┗6/1 (차) 보험료 450,000   (대) 현금 450,000

1년분 자동차보험료를 미리 지급한 것이라 6월부터 12월까지 7개월치의 보험료(28만원)만을 당기비용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나머지 5개월치 보험료(20만원)는 결산 시 장부에 이연시켜야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분개할 수 있겠다.

12월 31일 선급보험료를 정리하는 경우

┗(차) 선급비용 200,000   (대) 보험료 200,000



수익의 예상

┗(차) 미수수익 XXX   (대) 이자수익 XXX


                             

EX)
12월 31일 현재 4개월분 대여금 이자수익 8만원을 아직 받지 못했다.

                 

결산 시 현재 1년분 이자수익(24만원) 중에 나머지 8개월분 이자수익(16만원)은 받았다는 걸 알 수 있다.

4개월분 이자수익 8만원을 아직 받지 못했다하더라도 당기분 수익(이자수익)에 해당하기 때문에 장부에 기록해야하는데 이때 아래와 같이 기록하면 된다.

12월 31일 이자 미수액을 정리하는 경우

┗(차) 미수수익 80,000   (대) 이자수익 80,000



비용의 예상

┗(차) 임차료 XXX   (대) 미지급비용 XXX


                             

EX)
12월 31일 현재 4개월치 월세 12만원을 아직 지급하지 못했다.

                 

결산 시 현재 1년분 임차료(36만원) 중 8개월치 임차료(24만원)는 지급했다는 걸 알 수 있다.

4개월치 임차료 12만원을 아직 지급하지 못했더라도 당기분 비용(임차료)에 해당하기 때문에 장부에 기록해야하는데 이때 아래와 같이 기록하면 된다.

12월 31일 임차료 미지급분을 계상하는 경우

┗(차) 임차료 120,000   (대) 미지급비용 120,000


소모품의 회계처리


(1)자산처리법

: 소모품을 구입한 때에는 자산 계정인 소모품 계정에 기입했다가 기말에
기중 사용액을 소모품비 계정에 대체 기입하는 방법

소모품을 구입한 경우

┗(차) 소모품XXX   (대) 현금 XXX

결산 시 사용분을 비용으로 처리한 경우

┗(차) 소모품비 XXX   (대) 소모품 XXX



(2)비용처리법

: 소모품을 구입한 때비용 계정인 소모품비 계정에 기입했다가 기말에 사용하지 않은 소모품이 있을 경우 미사용액을 소모품비 계정에서 차감하여 소모품 계정으로 대체한다.

소모품을 구입한 경우

┗(차) 소모품비 XXX   (대) 현금 XXX

결산 시 미사용분을 자산으로 처리한 경우

┗(차) 소모품 XXX   (대) 소모품비 XX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