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전하는 회계이야기 상세보기


제목 2A 이다은
작성자 이다은 조회 206
첨부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날짜 2021-06-10
내용

< 공손품회계 >


1. 공손 및 감손의 의미


1) 공손 - 재료의 불량이나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가공에 실패해 재작업을 하여도 완성품으로 만들 수 없는 불합격품

              폐기처분하거나 처분가치로 매각된다.


2) 감손 - 제조과정에서 자연적으로 감소되어 제품화되지 못하고 소멸된 원재료를 말한다.

              감손품의 경우 그 형체가 없으므로 처분가치가 전혀 없다.


공손에 대한 회계처리는 정상공손과 비정상공손 두 가지로 나뉜다.


정상공손 - 제품의 생산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것, 즉 제품원가에 포함시켜야 한다.

비정상공손 - 능률적인 작업과 효율적인 생산 환경에서는 통제가 가능하고 회피가 가능하다. 


실제로 생산공정의 전체 과정에서 발생되지만 품질검사 전까지는 발견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검사 시점에서 정상품과 공손품을 판단한다.

공손이 발생한 경우의 종합원가계산은 종합원가계산의 다섯 단계와 유사하다.


1. 물량의 흐름을 파악한다.

2. 완성품환산량을 계산한다.

3. 총제조원가를 집계한다.

4. 완성품환산량 단위당원가를 계산한다. 

5. 완성품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 및 공손품원가를 계산한다.

6. 정상공손품 원가를 완성품 및 기말재공품에 배부한다.